끝까지 간다의 김성훈 감독이 들고나온 영화 터널
자동차 영업 대리점의 과장인 정수(하정우)가 큰 계약건을 앞두고 들뜬 기분으로 집으로 향하던 중
터널을 지나가게 됩니다. 그러던 중 갑자기 무너져 버린 터널안에서 홀로 갇히게 되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다행히 크게 다치지는 않았지만, 눈에 보이는 것은 거대한 콘크리트의 잔해뿐, 쉽게 움직일수도 없는 상황이고, 온갖 장애물들로 인해 이동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가 가진 것은 78%의 배터리가 남은 휴대폰과 생수 두병뿐, 그리고 사랑하는 딸의 생일 케이크 뿐입니다.
간신히 119에 구조요청을 하였지만, 입구가 철저히 무너져있는 상황이라 구조 작업은 막막하기만 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터널이 붕괴되었다는 소식이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게 되면서, 그속의 생존자에 대해서 국민들이 궁금해 하면서도 안타까워 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구조대원의 노력으로 조금씩 터널에 진입을 하고 있지만, 아직 하정우를 만나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다가 3번 환풍기쪽에 생존자가 있다라는 단서를 발견하고 구조대는 굴착을 시도하지만 결국 실패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터널을 공사할때 설계도면과 실제는 달랐기 때문입니다.
국가와 사회적인 부실에 대한 모순이 영화 내내 계속됩니다.
이제 터널안의 상황은 점점 안좋은 상황으로 이어집니다. 가지고 있었던 생수도 다 떨어져 가고, 가지고 있었던 마지막 식량이었던 케이크 조차도 또다른 생존자의 강아지가 먹어버리는 해프닝이 발생합니다.
결국 이대로 극적으로 버티는수밖에 없는 상황이 됩니다.
구조대는 계속해서 구조는 하게 되고 그러다가 공사측의 문제로 작업인부가 사망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그로 인해 국민들의 관심은 냉담하게 바뀌게 됩니다. 하정우 때문에 구조대원이 죽었다. 이미 하정우가 사망한 것 같은데, 터널 구조작업으로 인해 제2터널 공사가 지연되어 경제적인 손해를 보고 있다는 등 정말 말도 안되는 기사들이 쏟아지게 됩니다. 또한 극중 하정우의 아내로 나오는 배두나에게 조차도 각종 비난을 받게 되고, 어른들의 이기심으로 인해 유치원에 다니는 하정우의 딸은 어린이집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일까지 발생합니다.
영화에서는 결국 하정우는 사고가 일어난지 35일만에 구출이 됩니다.
하지만 구출되는 이 과정에서도 쓴 웃음을 자아내게 됩니다. 하정우가 구출되는 그 순간을 이용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장관이 내려오고 언론이 몰려들게 됩니다. 어찌보면 정말 정치적인 쇼를 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입니다.
장관님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으니 구조를 멈추게 한다던지, 하정우를 욕하던 많은 기자들이 하정우가 구조된 후에는
이시대의 청년의 강한 의지력 등 온갖 긍적적인 기사들을 작성하는 등 이중적인 모습들을 보여주게 됩니다.
영화에 대한 한마디
이 영화는 전체적인 줄거리로만 보면, 한 사람이 터널을 지나가다가 터널에 붕괴되는 사고를 겪었고, 그 속에서 구조되기를 기다리다가 결국 구조되는 단순한 스토리의 영화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안에 각종 비리와 이해관계들 그리고 이것을 통해 본인들의 이익을 얻기 위한 온갖 비리와 상황등이 엮이게 되면서 마음 한편으로는 찝찝한 영화가 된 것 같습니다.
누구는 안에서 생사가 왔다갔다 하지만, 밖에 있는 사람에게는 정치적인 쇼를 위한 사건에 불가하고,
누구는 억울하게 터널을 지나가다 갇혔을 뿐인데, 온갖 국민들의 뭇매를 맞아야 하는 이상한 상황이 진행됩니다.
참 사람들은 본인들의 잣대에 의해 자의적으로 그리고 자기중심적으로만 생각하는 본능적인 동물인가 봅니다.